검색결과 리스트
글
일상
2009. 4. 23. 03:21
동급생, 히가시노 게이고
히가시노 게이고 : 동급생,창해, 2008.
1.
슈분칸고교의 유키코라는 여학생의 교통사고를 시작으로 이 소설을 시작한다.
유키코가 교통사고 당시 그녀는 임신 중이었고 이러한 사실이 학교내에 퍼졌다.
니시하라와 가오루가 교통사고 장소의 근처 찻집에서 유키코가 누군가에게 쫓기다가
교통사고를 당한 사실을 듣게되고 그녀를 쫓던 사람이 학생지도부 미사키였던 사실을 알게된다.
다음날 니시하라는 유키코의 아이가 자신의 아이라고 선언하며 미사키의 수업시간에 미사키를 추궁한다.
며칠 후 미사키는 자살인지 타살인 모르는 의문의 죽을 맡게된다.
2.
생각해보면, 우리 학생들은 교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 인권 무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교사는 학생의 사생활을 침해하지만, 이쪽에서 저쪽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런 구조가 굳어진것이다.
그 구조를 박살내 버려야겠다고 나는 생각했다.
-281
감상
단언하건데, 난 중고등하교때 배운것이 없다.
중학교선생들은 학생들의 기분따위는 생각도 없고
그렇다 지식을 주는 것도 아니였다. 한마디로 쓰레기들이었다.
난 중학교때 고민이 많았고 담임과 이야기했지만, 돌아온 건 한마디 뿐이었다.
참으라고.
고등학교때도 별반 다르지 않았지만, 2학년때의 국어선생님이 생각난다.
그는 열정적이었다.뭐, 목소리도 수업을 가르칠때 컸지만.지금은 어떻게 변했는지 모르지만.
그 국어선생님의 수업시간에 이야기한 책을 읽고 그 책으로 나의 나의 지식세계는 조금이나마 넓혀졌다.
나의 기억이 왜곡된지도 모르지만, 그는 열정을 강조하는 편이였다.
가장 웃겻던 선생은 2학년때의 독어선생.
그는 첫 시간에 반장을 불러 싸대기를 한대 때렸다.
한마디로 군기잡은 거다. 그가 가르쳐준건 아무것도 없다. der des dem den.이게 다다.
나머진 책만보면 시험은 그러저럭 치룰 수 있었다.
공교육이 어쩌고 하는데,
선생들이 주는 지식은 학원선생보다 못하고
그렇다고 학생들의 고민을 들어주거나 학생들을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는 존재들이었다.
그들은 항상 그런다 자신들은 처음에는 열정적으로 가르쳤다고 하지만, 나중엔 학생들이
말을 듣지 않아 포기했다고. 그래서 대충 학생들을 대한다고.
선생들의 체벌이 어쩌고 저쩌고 논할생각은 없다.
하지만, 난 중학교때부터 지금까지 선생들의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당시 학교는 나에게 지식을 넓혀주지도 않았다. 그들이 준것은 교과서 뿐이었다.
사춘기의 고민등은 선생에게 이야기해봤자 선생들은 귀찮아할뿐이었다.
이런 선생들의 귀찮음과 무관심으로 인해, 중학교때 내가 다디던 중학교에서 학교폭력이 일어났다.
지금은 어떠한지 모르겠다. 난 내가 만나왔던 선생들을 대다수 싫어한다.
스승의 날에 고등학교를 찾아오던 선배들이 이해가 되지 않고 지금도 이해가 되지않는다.
1.
슈분칸고교의 유키코라는 여학생의 교통사고를 시작으로 이 소설을 시작한다.
유키코가 교통사고 당시 그녀는 임신 중이었고 이러한 사실이 학교내에 퍼졌다.
니시하라와 가오루가 교통사고 장소의 근처 찻집에서 유키코가 누군가에게 쫓기다가
교통사고를 당한 사실을 듣게되고 그녀를 쫓던 사람이 학생지도부 미사키였던 사실을 알게된다.
다음날 니시하라는 유키코의 아이가 자신의 아이라고 선언하며 미사키의 수업시간에 미사키를 추궁한다.
며칠 후 미사키는 자살인지 타살인 모르는 의문의 죽을 맡게된다.
2.
생각해보면, 우리 학생들은 교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 인권 무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교사는 학생의 사생활을 침해하지만, 이쪽에서 저쪽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런 구조가 굳어진것이다.
그 구조를 박살내 버려야겠다고 나는 생각했다.
-281
감상
단언하건데, 난 중고등하교때 배운것이 없다.
중학교선생들은 학생들의 기분따위는 생각도 없고
그렇다 지식을 주는 것도 아니였다. 한마디로 쓰레기들이었다.
난 중학교때 고민이 많았고 담임과 이야기했지만, 돌아온 건 한마디 뿐이었다.
참으라고.
고등학교때도 별반 다르지 않았지만, 2학년때의 국어선생님이 생각난다.
그는 열정적이었다.뭐, 목소리도 수업을 가르칠때 컸지만.지금은 어떻게 변했는지 모르지만.
그 국어선생님의 수업시간에 이야기한 책을 읽고 그 책으로 나의 나의 지식세계는 조금이나마 넓혀졌다.
나의 기억이 왜곡된지도 모르지만, 그는 열정을 강조하는 편이였다.
가장 웃겻던 선생은 2학년때의 독어선생.
그는 첫 시간에 반장을 불러 싸대기를 한대 때렸다.
한마디로 군기잡은 거다. 그가 가르쳐준건 아무것도 없다. der des dem den.이게 다다.
나머진 책만보면 시험은 그러저럭 치룰 수 있었다.
공교육이 어쩌고 하는데,
선생들이 주는 지식은 학원선생보다 못하고
그렇다고 학생들의 고민을 들어주거나 학생들을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는 존재들이었다.
그들은 항상 그런다 자신들은 처음에는 열정적으로 가르쳤다고 하지만, 나중엔 학생들이
말을 듣지 않아 포기했다고. 그래서 대충 학생들을 대한다고.
선생들의 체벌이 어쩌고 저쩌고 논할생각은 없다.
하지만, 난 중학교때부터 지금까지 선생들의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당시 학교는 나에게 지식을 넓혀주지도 않았다. 그들이 준것은 교과서 뿐이었다.
사춘기의 고민등은 선생에게 이야기해봤자 선생들은 귀찮아할뿐이었다.
이런 선생들의 귀찮음과 무관심으로 인해, 중학교때 내가 다디던 중학교에서 학교폭력이 일어났다.
지금은 어떠한지 모르겠다. 난 내가 만나왔던 선생들을 대다수 싫어한다.
스승의 날에 고등학교를 찾아오던 선배들이 이해가 되지 않고 지금도 이해가 되지않는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다미 넉장반 세계일주, 모리미 도미히코 (0) | 2010.05.14 |
---|---|
역사 앞에서, 김성칠 (0) | 2009.05.03 |
비밀, 히가시노 게이고 (0) | 2009.04.18 |
광우병 (0) | 2008.05.08 |
한국타이어 (0) | 2007.10.26 |
RECENT COMMENT